왜 답이 1번일까요??
12번...
또 이문제에 대한 질문이 계속되네요...^^
답이 1번인 선형적인 CAI프로그램, 구조화된 과제 제공, 으로 되있는데요...
구조화된 제공은 이해가 가는데 왜 선형적인가는 이해가 안 가네요. 하이퍼텍스트적인 CAI는 안되나요. 하이퍼텍스트는 하나에 여러가지가 연결된 거니까 선형적인 것에 비해 더 구조적인 거 같아서요. 궁금해서 질문드립니다
밑의 은영양이 질문한 하이퍼텍스트 CAI 와 선형적인 CAI의 비교 공부부터 해봐야 할 것 같네요...^^
이현주 답변 삭제
장의존적 학생은 주위 환경에 영향을 많이 받습니다. 그리고 어떤 모험을 하기보다는 이미 정해진 틀에 짜여진 것을 좋아하지요. 그러므로 선형적이 CAI가 더 적합하고 구조화된 과제를 제공해주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하이퍼텍스트CAI는 역동적이므로 정해진 틀이 없습니다. 그러므로 장의존적 학생에게는 적합하지 않지요. 이러한 장의존적 학생은 구조화된 과제를 해결함으로써 교사에게 칭찬 받는 것을 좋아합니다. 그러므로 내적동기보다는 외적 동기부여가 강하다고 할 수 있지요.
답변에 도움이 되셨는지 모르겠네요^ㅡ^;
그럼 공부 열심히 하세요^ㅡ^
정희연 답변 삭제
장의존적 학습자의 특성은 교수님의 설명에도 나와있듯이
외부에서 설정한 구조나 목표, 강화를 필요로 하고
비구조화된 자료를 학습하는데 어려워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그에 비해 장독립적인 학생은 학습을 하는데에
개인적인 접근 방법을 선호하고 학습목표와 방법을
자기 스스로 선택하기를 좋아합니다.
답은 장의존적 학습자에 맞는 학습법으로
선형적인 CAI프로그램 , 구조화된 과제제공인데요.
여기서 선형적인 CAI와 하이퍼텍스트 CAI는
단일한 접근 방식과 다양한 접근 방식이라고
이해하면 되지 않을까요 ?
정해진 경로를 통해 행해지는 방식으로
학습성과가 목적을 결정하고 선택이 제한되어
있다는 것, 즉 설정된 구조, 목표등을 필요로하는
장의존적 학습자에 맞는 프로그램이라고 생각됩니다
하이퍼텍스트적인 것은 학습자가 상호작용하는 것으로
학습하는 것이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비의존적 학습자에게는
맞지 않기 때문에 선형적인 CAI가
적합하다고 한 것 같아요.
부족하지만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